무선 인터넷 종량제
인터넷은 점점 책상에서 거리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휴대용 기기의 발전은 하드웨어 발전만으로는 그 달콤함을 얻을 수 없습니다. 네트워크와 연결되어야 합니다. 휴대용 기기가 발전하면 발전할 수록 네트워크와의 연결은 더욱 절실하고 무선 인터넷 사용 인구는 늘어 갈 것입니다.
소형 P.C.와 무선 인터넷을 제대로 즐기기 위해서는 당연히 저렴하고 좋은 휴대용 기기가 있어야 겠지만 마찬가지로 통신 요금도 저렴해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walkpc.com 에 "1달에 최대 11억 청구되는 비정상적인 HSDPA, 심각한 문제점에 대한 사용기"라는 글을 읽고 통신사의 요금제에 대해 다시 걱정하게 되네요. 이전에도 한국통신에서 유선 인터넷 요금제를 종량제로 한다고 했다가 무척이나 시끄러웠던 적이 있었는데, 통신업체 3사가 무선인터넷을 종량제로 책정하려 한다는 것이죠.
현재 종량제로 운영되고 있는 과도한 핸드폰 요금만 보더라도 무선 인터넷을 종량제로 책정하고 요금을 통신업체의 말도 안되는 산수에 맡기게 된다면 사용자는 고급 자동차를 사 놓고는 차고에 고이 모셔 두고 가슴 앓이만 하게 될 것입니다. 기껏 동네 한바퀴 돌았는데, 나중에 요금 고지서 보고 머리가 돌아 버리는 그런 항당한 경우를 당할 수 있다는 것이죠.
물론 무선 인터넷은 유선 인터넷과 다른 문제를 안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무선 인터넷의 발전은 곧 휴대폰 사용량을 줄이게 될 것이고 어쩌면 휴대폰은 이전의 삐삐신세가 될지 모르죠. 과도한 핸드폰 요금으로 재미를 본 통신업체에서는 큰 문제가 아닐 수 없을 것입니다.
이것이 극단적인 논리라고 한다고 하더라도 상식 밖의 요금제는 안되겠지요. walkpc.com에 올려진 글에 보니 SK Telecom의 요금제에서 한 달 내내 사용했을 때의 요금이 11억이랍니다. 이렇게 이해가 안되니까 말이 많아지는 것 아니겠습니까.
아래는 walkpc.com 에 올려진 "1달에 최대 11억 청구되는 비정상적인 HSDPA, 심각한 문제점에 대한 사용기" 포스트 내용입니다.
70년대 미국 유선에서 활약했던 분들처럼
무선해커가 이번 세대에 나와야 말이 맞겠죠
아니면 지금 국내에 많이 들어와있는 중국애들한테 맡겨보는것도 좋을듯....
일단, 무선인터넷WiFi, 휴대인터넷HSDPA/WiBRO/Mobile-WiMAX.....휴대인터넷이 맞을 듯....
제가 생각하는 관점에서는 potalble-PC는 밧데리,Harddisk용량과, 작은 화면때문에 일반 유선의 PC의 유선네트워크와 구별될 수 있는 서비스 용량이 있을 듯합니다.
하지만, 종량제없는 서비스라는 것은 집에 에어콘을 모셔두고 전기세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우리집 모습이 그려집니다. ^^
자연스레 가격은 내려갈 것으로 보이는데요. 물론 쉽지 않은 일이겠지만요. ^^;
엄청난 IT 인프라를 갖추고 있지만 실제 이용가격들은 상당히 비쌉니다. 제가 즐겨하는 온라인 게임,
PS2, XBOX, PSP 등의 게임기 가격, 게임 패키지, 각종 소프트웨어 등등 우리나라 경제적 수준이나
국민소득에 비해서는 외국보다 상당히 비싼 요금을 주고 사용하고 있는 것들이 많습니다.
생산자와 소비자 중간에서 수입하는 업체들이 이득을 너무 많이 취하는 것인지 아니면 생산자의 오만
인지는 모르겠지만 항상 우리나라는 비싸게 책정되더라구요. 비단 제 혼자만의 생각인지도 모르겠지만.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잘 팔리니까 업체들이 현재 가격을 고수하는 게 아닐까 하는 짧은 생각을
항상 하고 있습니다. 힘 모아서 비록 하고 싶더라도 몇 달만 참는다면 결국 항복하지 않을까 하는데
안타깝지만 이건 이상에 가깝더군요.
좀더 현실적인 가격에 많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종량제 는 무조건 무조건 무조건 사용하지 맙시다! 어흥~!
그리고 전 맨위에 덧글에도 썼지만 지금 요금체계가 크게 잘못되어있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쓴 저 한줄의 덧글에서 그런 의도를 어떻게 보셨는진 잘 모르겠습니다만 오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그들의 책임으로 몰고 가서 그들이 없어진다면 우리나라는 국가 전반적인 성장 동력을 잃게 될껍니다.
많이 아쉽게도 앞으로 발전하게 되는 부분은 휴대인터넷분야 일터인데;;
우리나라의 패쇄적인 구조로는 2년안에 국제적인 주도권을 내주게 될꺼 같습니다.
작은 그릇을 차지하려구 큰그릇을 못보는 행태 위험합니다.